본문 바로가기
기타

CPM, CPC, CPA 차이 - 애드센스 CPC 단가 확인하기

by ✿ ☺ ☻ ☹ ☼ ☂ ☃ 2022. 11. 19.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 애드센스와 연결하면 CPM, CPC, CPA라는 광고 입찰가가 있고, 두 가지 방식의 가격이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디지털 마케팅의 기본인 CPM, CPC, CPA의 차이와 내 애드센스 CPC 단가를 확인해보자.

 

CPM, CPC, CPA란?

  • CPM (Cost per Mille) : 광고 1,000회 노출당 입찰가
  • CPC (Cost per Click) : 클릭당 입찰가
  • CPA (Cost per Action) : 회원가입, 다운로드 등 광고주가 원하는 행동으로 전환한 건수 당 입찰가

 

광고주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CPM은 노출만 되어도 광고비를 지불하고, CPC는 광고를 눌렀을 때 광고비를 지불한다. CPM은 구매 전환까지 이루어졌을 때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의 광고 상품이다. CPC, CPA는 목적이 분명한 타게팅 광고 상품이고, CPM은 대량으로 뿌리는 전단지 같은 개념의 광고 상품이다. 

 

광고 단가는 CPA > CPC > CPM 순으로  비싸다

블로그 하나를 영업사원이라고 생각을 해보자. 전단지를 마구 뿌리는 사람 (CPM), 살 것 같은 사람한테만 뿌리는 사람 (CPC), 기어코 사게 만드는 사람 (CPA) 중 어떤 영업사원에게 가장 많은 성과급을 줄까. 광고주의 최종 목표인 구매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가 아닐까.

 

애드센스로 광고 수익을 노릴 부분은 CPC이다. 블로그 글의 질을 높여서 좀 더 실제 구매를 할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어필하는 방법을 고민해보는 등 적극적으로 어떤 행동을 해볼 수 있을 유일한 부분 아닐까 생각한다. 

 

 

애드센스 CPC 단가 확인하기 

  • 애드센스 > 보고서 > 측정항목 수정 (연필)

CPC 단가를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애드센스 보고서의 측정항목에 CPC 필터를 추가하면, 실제 발생한 애드센스 CPC 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1. 애드센스 > 메뉴 > 보고서 선택

애드센스 보고서 보기
애드센스 보고서 보기

 

 

2. 측정항목 필터 설정하기

그래프 상단에 측정항목 필터가 모여있는 모습이다. 오른쪽 연필 모양을 선택한다. 

애드센스 보고서에서 측정항목 필터 설정하기
애드센스 보고서에서 측정항목 필터 설정하기

 

 

3. 필터에 CPC 추가하기

왼쪽 측정항목 목록에서 CPC를 체크한다. 하단의 고급 검색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른쪽 선택한 항목에 방금 추가한 CPC가 추가된 모습이다. 필터가 보이는 순서는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적용을 눌러 설정을 저장하자.

측정항목 필터에서 CPC 체크하기
측정항목 필터에서 CPC 체크하기

 

 

4. 실제 CPC 단가 확인하기

보고서에 CPC 항목이 추가된 모습이다. 참고할 수 있게 이 블로그의 CPC 가격을 공개해보았다. 클릭해주신 분, 감사하다. ㅠㅠ

보고서에 적용된 CPC 단가 확인하기
보고서에 적용된 CPC 단가 확인하기

 

 

참고로 다들 알고 있겠지만, CPC 평균 단가는  홈 > 입찰 유형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필터로 기간을 변경하여 오늘, 일주일, 지난달 등의 총합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이 블로그는 CPM 입찰가가 더 큰 비율을 차지한다. 열심히 해야겠다. 모두들 파이팅!

CPC, CPM 평균 입찰가
CPC, CPM 입찰가 총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