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기사 : 미국투자 너무나 중요한 타이밍, 바벨전략이란? by Danile Dongwon Yoo
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34822
바벨 전략이란?
Barbell Maturity
수익률이 낮은 보수적 투자와
수익률이 높은 공격적 투자를 조함하는 것
중간은 버리고 양 극단을 선택하는 전략
ex. 미국주식+중국주식, 성장주+가치주
미국 증시 지난 1주일 ~ 3년 추이 그래프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이 있었던 지난주, 미국 증시는 상당히 상승한 모습
S&P 500 VIX란?
뉴욕주식시장 변동성지수
주식시장이 S&P 500 지수 옵션에 기반한 변동성을 측정하는 한 방식
VIX = Volatility Index (Volatility = 변동성)
작년에 많이 올랐지만, 경기 사이클로 보면 아직 고점은 아니다
이유 :
미 연준이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펴고 있음.
옐런 (과거 미 연준의장)이 미국 재경부장관으로 임명되어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이 논의중
유동성만으로 해석한 미국 지수 상승 여력
미국 유동성은 작년 12월 대비 하락하고 있지 않음
(2주전 미국의 M1 증가율이 처음으로 70.8%를 기록)
(미국의 M2 증가율은 27.2%대)
M1 이란?
M은 통화지표를 분류하는 말
M0 ~ M3까지 있음
각국의 중앙은행에 따라 의미가 다름
미국의 M1 = 협의통화
M1 = M0 (민간 보유 현금) + 비은행 발행인의 여행자 수표 + 요구불예금 + 기타 수표가능예금 (OCDs)
M1 증가율이 높아지면 금, 은, 비트코인 등의 대체자산의 가치가 상승할 확률이 높고
M2 증가율이 높아지면 주식시장의 가치가, PBR이 높아질 확률이 높아진다.
S&P 500의 현재 PBR은 4.08
과거 20년 평균의 2.8배 수준에서 46%정도 더 높은 수준
하지만 과거 20년 평균 미국 10년 금리 대비 현재 금리는 30% 미만 수준
&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2% 이상으로 확대되어도
이는 과거 20년 미국 10년 국채 평균 금리의 50% 수준
결론적으로
미국의 S&P500은 현재 PBR의 5.6배 수준까지 상승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한다
최근 나스닥 시가 총액이 커졌지만,
과거 유동성이 컸던 시기와 비교해서
당시의 M2/시총으로 계산해볼 경우,
미국 증시는 지금보다 10.2% 상승 예상
향후 3년 나스닥 51.3%, S&P500 27.6% 상승 예상
미국 러셀 2000과 나스탁 100
양쪽을 다 투자하는 바벨 전략을 추천한다고 함
미국 70% (2/3는 나스닥 100, 1/3은 미국 중소형주) 중국 30%
달러 지수가 향후 박스권에서 유지된다면 미국 투자의 매력도는 높다.
러셀 2000이란?
Russell2000
2000개의 중소형주 추종하는 지수
러셀 2000 지수가 오르면,
경기 상황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가 오르는 만큼
(중소형주들이 다 같이 잘 되는 거니까)
위험선호 성향이 커진다는 의미
러셀2000 지수가 내리면 그 반대
'주식,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으로 수익이 났다면, 양도소득세 얼마나 낼까? (0) | 2021.09.09 |
---|---|
홈트레이닝 계의 애플 + 넷플릭스, 펠로톤(Peloton) (0) | 2021.09.09 |
ARK Invest, 제 2의 야누스 트웬티일까 (블룸버그 팟케스트 요약) (0) | 2021.09.09 |
[뉴스 요약] Tiktok 경쟁사 Kuaishou 콰이슈,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의 IPO (0) | 2021.09.09 |
ARKQ 홈페이지 살펴보기 (0) | 2021.09.09 |
댓글